1. Async, Sync + Blocking, NonBlocking
비동기와 동기, 그리고 non-blocking과 blocking방식은 어떻게 조합하냐에 따라 진행방식이 달라집니다. 이 글은 각각의 조합방식에 따른 진행방식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합니다.
위의 그림과 관련하여 에스프레소를 손님에게 제공하는 예시로써 각각의 조합을 설명하겠습니다.
main work
: 에스프레소 추출sub work for main
: 컵 닦기other work
: 쓰레기 치우기
1-1. Sync-Blocking
에스프레소 추출 버튼을 누르고 계속 기다립니다. 추출이 끝나면, 컵을 닦고 에스프레소를 담아서 손님에게 제공합니다.
1-2. Sync-NonBlocking
에스프레소 추출 버튼을 누르고, 자리로 돌아옵니다. 틈틈히 추출이 끝났는지 확인합니다. 추출이 끝나면, 컵을 닦고 에스프레소를 담아서 손님에게 제공합니다.
1-3. Async-Blocking
에스프레소 추출 버튼을 누르고, 보조인원(Thread 2)에게 컵을 닦는 일을 시킵니다. 에스프레소 추출이 끝났을 때, 아직 컵이 준비가 안되어있다면 기다립니다. 컵이 준비가 되면 에스프레소를 담아서 손님에게 제공합니다.
이 부분은 Sync-Blocking과 거의 동일합니다. 다만, main work
와 sub work for main
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 다릅니다.
1-4. Async-NonBlocking
에스프레소 추출 버튼을 누르고, 보조인원(Thread 2)에게 컵을 닦는 일을 시킵니다. 에스프레소 추출이 끝나면, 보조인원이 컵을 닦는 동안 쓰레기를 치웁니다. 쓰레기를 치우는 와중에 컵이 다 닦였다고 보조인원으로부터 연락을 받으면 에스프레소를 담아 손님에게 제공합니다.
이제 이 부분을 2개의 CPU 스레드(나, 보조인원)의 시간효율측면에서 보면 어떨까요?
2명이 풀로 일함 >= Async-NonBlocking > Async-Blocking >= 1명이 풀로 일함 >= Sync-NonBlocking > Sync-Blocking
Sync-Blocking은 기다리는 와중 다른 업무를 수행할 수 없으며 인원도 부족하기에 가장 비효율 적이며, Async-NonBlocking은 여러명에서 수행하며 기다리는 와중에 각기 다른 업무를 진행할 수 있기에 가장 효율적입니다.
2. CPU 관점에서의 차이점들
2-1. Sync-NonBlocking과 Sync-Blocking 차이점
결론적으로 하나의 스레드는 자기가 할 수 있는 총량이 정해져 있습니다. 그래서 내부에서 일을 여러개를 수행한다고 하여도, 결국에는 하나의 스레드가 할 수 있는 일을 넘지는 못하죠.
그렇다면 Sync-NonBlocking은 딱 한가지 Blocking보다 좋은 점이 있습니다. 바로 Work의 Starvation을 막을 수 있다는 점이죠!
2-2. Async-NonBlocking과 Async-Blocking 차이점
일단 둘 다 여러 스레드가 동시에 일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같습니다. 또한 둘 다 ListenableFuture 객체(Java의 경우)를 통해 별도로 CallBack 채널을 구성하여 계속 확인해야하는 프로세스를 제거하였죠.
그러나 비동기-Blocking로 구성된 해당 스레드는 결국 다른 일이 끝날때까지 기다려야만 합니다. 반면, 비동기-NonBlocking은 자신의 업무를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습니다.
NonBlocking과 Blocking은 서비스 로직에 따라 달리 적용됩니다.
만약,
A
라는 일이B
의 결과에 의존적이라면 Blocking 으로 수행하여야만 합니다. 만약 의존적이지 않다면 NonBlocking으로 설계하여 동시수행가능함으로써 CPU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겠죠?
3. ListenableFuture란?
ListenableFuture은 Java의 non-blocking의 인터페이스인 Future을 좀 더 extend한 인터페이스입니다. 얘는 callbacks를 아래와 같이 쉽게 추가할 수 있습니다. 아래는 채팅서버프로젝트 에 적용된 ListenableFuture입니다.
@Async
public void sendToKafkaWithKey(String topic, Object req, String key) {
ListenableFuture<SendResult<String, Object>> future = kafkaProducerTemplate.send(topic,key, req);
future.addCallback(new ListenableFutureCallback<SendResult<String, Object>>() {
@Override
public void onFailure(Throwable ex) {
log.error("메세지 전송 실패={}", ex.getMessage());
}
@Override
public void onSuccess(SendResult<String, Object> result) {
log.info("메세지 전송 성공 topic={}, key={}, offset={}, partition={}",topic, key, result.getRecordMetadata().offset(), result.getRecordMetadata().partition());
}
});
}
저는 채팅서버 프로젝트에서 카프카에 메세지를 보내고 성공확인여부를 반환받을 때, 위와 같이 non-blocking으로 진행합니다. 그리고 이 부분은 별도의 스레드로 실행되도록 설정하였으며, 결론적으로 Async-NonBlocking 방식의 통신을 하도록 설정하였습니다.
추가적으로
SendResult
는 Kafka가 지원하는 결과 전달 객체입니다.Kafka는 메세지큐에 정상적으로 삽입되면, ListenableFuture의
onSuccess
에게 토픽, 키, 오프셋값, 삽입된 파티션 넘버 등의 메타정보들(SendResult)을 전달하게됩니다.
/**
* Result for a ListenableFuture after a send.
*
* @param <K> the key type.
* @param <V> the value type.
*
* @author Gary Russell
*
*/
public class SendResult<K, V> {...}